유물관리부 공무직(학예보조) 채용 공고
국립중앙박물관 | 공공기관
- 2025년 10월 27일 (월) ~ 2025년 10월 29일 (수)
- 정규직
공통사항 및 근로조건
[공통 지원 자격 (최종시험(면접)예정일 기준)] - 문화체육관광부 공무직 근로자 등 취업규칙 제7조(결격사유)의 각 호에 해당되지 않는 자 - 정년 60세를 초과하지 않은 자로서 업무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자 - 남자의 경우 병역을 필하였거나 면제된 자 - 응시연령 : 18세 이상 - 다음의 경력기준 또는 학위기준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되면 응시할 수 있음 · 경력기준 : 관련분야(역사학, 고고학, 고고인류학, 미술사학, 박물관학, 문화인류학, 기록관리학, 문화자원기록학, 문헌정보학 등 문화유산 또는 아카이브 관련학과) 학사학위를 취득한 후 채용예정 분야의 실무경력 2년 이상 · 학위기준 : 채용예정 관련 분야(역사학, 고고학, 고고인류학, 미술사학, 박물관학, 문화인류학, 기록관리학, 문화자원기록학, 문헌정보학 등 문화유산 또는 아카이브 관련학과)에서 석사 이상의 학위를 취득한 사람 [근무조건] - 근무형태 : 공무직 근로자 - 계약기간 : 계약일로부터 기간의 정함이 없음(단, 정년 만60세) - 근무시간 및 근무형태 · 1일8시간, 1주40시간(주5일) 근무 * 근로일 : 월요일~금요일 / 주휴일 : 일요일 * 근로시간 : 09:00 ~ 18:00 (식사시간 1시간 제외) - 근무장소 : 국립중앙박물관 - 보수기준 : 월 2,250,740원(기본급 2,110,740원+정액급식비 140,000원) ※ 자세한 사항은 채용 홈페이지 및 홈페이지 內 첨부파일 참조 바랍니다.
제출 서류
[입사지원 시_공통제출서류] - 제출서류 총괄표 - 응시원서 1부 - 이력서 1부 - 자기소개서 1부 - 직무수행계획서 1부 - 개인정보 제공·이용 및 제3자 정보제공 동의서 1부 - 공정채용 확인서 - 최종학교 졸업 또는 수료증명서 1부 - 경력(재직)증명서 사본 각 1부 ※ 자세한 사항은 채용 홈페이지 및 홈페이지 內 첨부파일 참조 바랍니다.
접수 방법
- E-mail 접수 : olly20@korea.kr - 등기우편 접수 : (04383)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유물관리부 공무직 채용담당자 앞 ※ 자세한 사항은 채용 홈페이지 및 홈페이지 內 첨부파일 참조 바랍니다.
전형단계
문의방법
- 그 밖의 자세한 사항은 02-2077-9388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기타 유의사항
- 응시원서 등에 기재착오, 구비서류 미제출, 부정행위 등으로 인한 불이익은 응시자 본인의 책임으로 합니다. 이에 별도의 통지 없이 불합격 처리 할 수 있으며, 계약체결 후에라도 기재내용이 허위로 판명될 경우, 근로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 자세한 사항은 채용 홈페이지 및 홈페이지 內 첨부파일 참조 바랍니다.
기업정보
공공기관
기업소개
역사와 문화가 살아 숨 쉬고, 과거와 현재, 미래가 공존하는 감동의 공간
역사와 문화는 단순히 과거의 유산이 아닌 오늘의 우리가 살아가는 삶의 기반이며, 미래 세대에게 물려주어야 할 소중한 자산입니다. 국립중앙박물관은 국가의 문화유산을 체계적으로 보존 관리하고 연구하면서 전시와 교육을 통해 그 가치를 국내외에 널리 알리는 문화기관으로서의 소명을 다해왔습니다. 박물관은 오랜 시간 대한민국의 역사적 흐름 속에서 성장해왔습니다. 1960년대 덕수궁 석조전 건물부터 70년대 국립민속박물관 건물, 80년대 조선총독부 건물, 2000년대 국립고궁박물관 건물을 거쳐 2005년 용산으로 이전하여 국민 여러분의 관심과 사랑을 받으며 명실공히 대한민국 역사 문화의 상징적 공간이 되었습니다. 박물관의 3대 구성요소는 유물, 건물, 사람입니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유물, 건물, 관람객 모두 세계에서 열 손가락 안에 꼽히는 자랑스러운 규모입니다. 시대와 주제별로 구성된 7개의 상설전시관, 다양한 내용을 선보이는 특별전시관, 관람의 이해를 돕는 전시해설 프로그램, 오감으로 즐기고 배우는 어린이박물관, 다채로운 교육 프로그램, 첨단기술을 활용한 실감콘텐츠 등은 누구나 쉽게 역사와 문화를 보고, 듣고, 배우고, 느낄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또한 접근성 개선 등의 노력을 통해 모든 세대와 계층이 누릴 수 있는 열린 문화공간으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연혁
- 2020년 12월
직제개정(박물관정보화과를 디지털박물관과로 변경)
- 2020년 06월
직제개정(관리과, 아시아부를 시설관리과, 세계문화부로 변경)



